지정학 경제 사회이슈

중국의 금 사재기가 키운 국제 '광산 마피아'

기사이미지

인도네시아 스코통 마을에 중국인 투자자들이 세운 불법 금광에 임시 천막들이 보인다. /사진=Muhammad Fadli/The Washington Post

2025.09.19 15:27

Washington Post
icon 12min
  • 0
kakao facebook twitter

금값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의 패권이 흔들리고 있고, 중국 등이 자국 통화를 기축통화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팍스 아메리카나는 끝나가고 있고, 이제 19세기 형태의 열강간 세력 경쟁 시대가 다시 찾아오는 것 같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양강으로 패권경쟁을 하는 시대가 시작된 것입니다. 달러는 약해지고 위안화는 기축통화의 지위를 노리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담 스미스가 '화폐가 되려고 태어난 금속'이라 불렀던 금이 다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종이 돈이 국제통화가 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고 인류 역사에서 국제통화로 가장 사랑받았던 것은 금과 은이었습니다. 쉽게 나뉘어지거나 합쳐지고, 그런 과정에도 가치는 온전히 보전되는 귀금속입니다. 중국은 위안화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금을 모아두려 할 것입니다. 금본위-금태환, 그러다가 어느 순간엔 위안화 패권. 이런 순서로 위안화 패권을 추구하려 할 것입니다. 위안화가 달러처럼 국제화폐가 되고 국제통화 패권까지 갖게 되면 전쟁처럼 막대한 자금이 드는 국가 사업도 손쉽게 전개할 수 있습니다. 종이 돈을 찍어 해외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금 확보에 혈안이 되어 있는 중국이 어떻게 금을 채굴하고 몰래 모으고 있는지 워싱턴포스트 8월 17일자 기사가 보도했습니다. 달러, 위안화, 금의 국제통화 삼국지에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인도네시아의 외딴 마을 란퉁Lantung에서는 언덕 꼭대기마다 초목이 벗겨져 나가고 있다. 지평선 너머 굴착기들이 노란 광맥이 섞인 암석을 파내며 느릿느릿 움직인다. 인근에는 올림픽 규격 수영장 크기의 구덩이에 우윳빛 화학물질이 고여 있다.


인도네시아 조사관들은 이것이 자본과 인맥으로 무장한 중국 채굴 조직syndicate들의 소행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 모든 활동은 사실상 불법이다.


이들 조직은 자체 지질도, 굴착기, 침출 탱크까지 가져온다. 이들은 허가 없이 활동하며 현지 경찰의 단속도 받지 않는다. 주민들이 이 지역의 가장 수익성 높은 자원인 금을 장악한 '광산 마피아'라고 부르는 이유다.


"그들이 금을 어디로 가져가는지는 몰라요." 란퉁의 금 거래상인 헤루 하이루딘이 말했다. "여기에 머물지 않는다는 것만 알죠."



미국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의 잠재적 제재로부터 자국을 보호하며 국제 통화 시스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체 역량을 구축하려는 전략적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은 엄청난 속도로 금을 사들이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의 탐사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움직임은 '글로벌 사우스' 전역에서 불법 금 채굴을 급증시키고 조장했으며, 인도네시아에서 가나, 프랑스령 기아나에 이르기까지 환경 파괴의 흔적을 남겼다.


급증하는 불법 금 거래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한 워싱턴포스트의 탐사는 위성 이미지, 무역 데이터, 공공 기록 및 3개 대륙에 걸친 금 연구자, 사법 당국 및 정부 관계자 수십 명과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불법 채굴의 확산이 가장 광범위하면서도 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진 인도네시아에서 워싱턴포스트는 내부 정부 문건을 입수하고, 중국 주도 사업으로 변모하고 있는 외딴 금광촌 6곳을 방문했다.


이곳들의 중국인 노동자들은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를 거부했지만 인도네시아의 중국인 채굴업자들은 인터뷰에서 인도네시아 금 부문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투자자 대상 영상에서 중국 광산업자들은 인도네시아의 막대한 금 매장지에 "자유롭고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광고한다.


인도네시아 동부의 한 불법 금광에서 금광석을 실은 트럭이 운반되고 있다. /사진=Muhammad Fadli/The Washington Post

인도네시아 동부의 한 불법 금광에서 금광석을 실은 트럭이 운반되고 있다. /사진=Muhammad Fadli/The Washington Post


지난 5월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는 조직범죄가 금 공급망에 매우 깊숙이 자리 잡아 "심각한 세계적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UNODC는 중국의 수요로 금 가격이 온스당 3000달러(420만 원)를 넘어서면서 마약 카르텔, 테러리스트, 용병 집단이 이 분야에 대한 개입을 심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 업계 연구자들에 따르면 이들 집단 거의 모두가 어떤 형태로든 중국 채굴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중국 채굴 기업들은 "광산에서 시장까지" 전 과정에 존재하며 가장 미개발된 지역에서도 활동할 수 있는 최고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조사관들은 많은 불법 금 채굴 사업이 중국 당국의 감독이나 제재를 거의 받지 않고 활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중국 민간 투자자들에 의해 직접 자금을 조달받고 운영되고 있다고 말한다. 이로 인해 금 매장국가들은 중국 정부가 해외 금 매장지 약탈을 넌지시 허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금 약탈은 유엔에서 경고하는 다른 여러 범죄 활동을 뒷받침하는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중국 관리들은 이러한 주장에 반발했다. 통더파 주가나 중국 대사는 지난 6월 불법 금 채굴 확산을 중국 정부 탓으로 돌리는 것은 "상당히 부당하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와 중국오광화공진출구상회中国五矿化工进出口商会(CCCMC) 는 워싱턴포스트의 상세한 질의에 답변하지 않았다. 주미 중국 대사관은 중국의 역할에 대한 금 매장국들의 주장에 대해 "알지 못한다"며 논평을 거부했다.


"중국 네트워크는 불법 금 거래에 깊숙이 관여됐어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금 관련 보고서를 작성해 온 광물 분석가 데이비드 사우드David Soud가 말했다. "그들이 채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획득하는 금의 상당 부분이 매우 불투명한 공급망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갑니다." 관리들과 분석가들은 이러한 과정이 통상적으로 현지 세금이나 로열티 지급 없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사우드와 다른 조사관들에 따르면 중국의 불법조직들은 전통적인 영세 금 채굴업자나 중국 기업을 포함한 합법적인 산업 채굴 기업과는 다르게 운영된다.


인도네시아 스코통 마을 주민들은 불법 금광에서 사용되는 수은과 시안화물이 강을 오염시키고 있다고 말한다.

인도네시아 스코통 마을 주민들은 불법 금광에서 사용되는 수은과 시안화물이 강을 오염시키고 있다고 말한다.


영세 채굴업자들이 기계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반면, 중국 불법업자들은 파쇄기, 굴착기 및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산업 광산에 버금가는 규모로 채굴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산업 광산과 달리 이들 조직들이 환경, 보건, 안전 규정을 무시하고 광산을 운영해 많은 지역사회에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속도로 숲과 강을 파괴하고 있다고 말한다.


채굴 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 조직들은 현장에서 처리 과정에 수은 대신 시안화물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이는 더 효과적이지만 엄격한 통제 없이 사용될 경우 더 위험하다.


"이 시스템은 훨씬 더 복잡해지고 조직화되었어요." 바이든 행정부에서 광물 공급망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전직 미 국무부 관리 브래드 브룩스-루빈이 말했다. "서방의 정책가들은 실상을 거의 다 놓쳤어요."


이 문제가 이제 막 정책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는 신호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외국에 대한 의존도 감소"를 위한 행정명령의 일환으로 금을 미국에 필수적인 광물 중 하나로 처음 지정했다. 며칠 후 열린 청문회에서 크리스 스미스(공화당, 뉴저지) 하원 외교위원회 아프리카 소위원회 위원장은 중국과 중국의 채굴 이권이 불법 금 거래의 "최대 수혜자"라고 묘사했다.


관리들과 활동가들은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가 중국인이 운영하는 채굴 조직 단속을 도와달라는 금 매장국 규제 당국의 호소를 거절했으며 불법 거래에 대응하기 위한 다자간 노력에도 불참했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가 정부 성명, 법원 기록, 보도를 검토한 결과, 2024년 초부터 최소 15개 금 매장국 당국이 불법 금 채굴 혐의로 중국 국적자 및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 아프리카 최대 금 수출국인 가나에서는 관리들이 중국 조직들 가나 서부와 남부의 넓은 지역을 황폐화시켰으며 현재는 북부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한다.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아무것도 하지 않아요." 가나 국회의원 티아 압둘-카비루 마하마는 중국 공산당이 환경 파괴 행위에 "공모"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말했다. 최근 몇 달 동안에만 수백 명의 중국인이 체포되었다. 가나는 중국 당국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고 엠마누엘 아르마-코피 부아 국토천연자원부 장관이 인터뷰에서 밝혔다. 부아 장관은 추방된 광부들이 늘상 다시 입국하는 방법을 찾아낸다며 "힘든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중국에 이어 아시아 최대 금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에서는 에너지광물자원부 관리들은 광활한 군도 전역에서 불법 금광에 대한 보고를 거의 매일 받고 있으며 그중 가장 큰 규모의 광산들은 중국인과 연관되어 있다고 말한다. 작년 세간의 이목을 끈 한 사건에서 인도네시아 당국은 주 인도네시아 중국 대사관에 신원 확인과 수사 협조를 요청했다. "그들은 협조적이지 않았어요." 수사 내용을 공개할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익명을 요구한 한 인도네시아 관리가 말했다. 그 관리는 중국인 용의자들이 인도네시아를 탈출했다고 덧붙였다.


  • 남미에 위치한 프랑스령 기아나에서는 프랑스군이 매년 수천만 달러를 들여 퇴치하고 있는 불법 금 시장에서 중국 투자자들이 "결정적인 물류 체인"을 형성하고 있다고 프랑스 정부가 자금을 일부 지원하는 국방 싱크탱크인 전략연구재단(FRS)이 2023년 보고서에서 밝혔다. FRS는 "중국 행위자들의 개입은 중국 정부에 의해 조장되거나 촉진되는 자원 확보 및 약탈이라는 세계적인 맥락의 일부"라고 밝혔다.


조사관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중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금 생산국으로, 불법 금 채굴 조직의 표적이 되고 있다.

조사관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중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금 생산국으로, 불법 금 채굴 조직의 표적이 되고 있다.

금 보유량의 미스테리

무역협회인 세계금위원회(WGC)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10년 넘게 세계 최대 금 구매국으로 손꼽혀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국이 실제로 얼마나 많은 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금이 어디서 오는지는 수수께끼라고 말한다.


금 및 금융 전문가들은 중국 공산당이 중국인민은행, 브로커를 통하거나 소매 구매를 장려하고 해외 금 채굴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산업 정책을 통해 국가를 위한 금 확보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고 말한다.


2017년 당시 중국금협회 회장이었던 쑹신宋鑫은 중국의 1조 달러(1400조 원) 규모 글로벌 인프라 프로그램인 '일대일로' 구상이 "황금의 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버지니아주 윌리엄앤메리대학교의 연구소 에이드데이터AidData가 워싱턴포스트에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중국 국책 금융기관들은 '글로벌 사우스 전역의 금 추출 및 가공 프로젝트에 대해 85건의 대출 약정을 체결했다.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중국인 금광 투자자 쩡산위에는 이제 중국 광부들이 국내보다 해외에서 일자리를 찾기가 더 쉬워졌다고 말했다. 해외로 나가는 이들 중 다수는 오랜 채광 전통을 가진 남부 광시성 출신이다. 그러나 쩡산위에의 고향인 저장성 같은 중국 다른 지역의 사업가들도 진출하고 있다. "모두가 채굴을 하고 있어요." 쩡산위에는 말했다.


중국의 전략가들에게는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중국의 금 보유고는 여전히 불충분하며 더욱 늘려야 합니다." 지난 3월 중국 최고 정치자문기구 연례회의에서 중국 공산당 고위 관리 류핑은 말했다. 또 다른 당 관계자인 장즈강은 금이 국가안보를 위한 "결정적인 도구"라고 말했다.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금 보유량을 완전히 투명하게 밝히지는 않지만 중국 당국이 발표하는 금 보유량과 무역단체 및 은행의 독립적인 평가 사이에는 이례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


2024년 9월 연구 보고서에서 골드만삭스는 중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 추정치가 특정 달에는 중앙은행 발표보다 최대 60톤 더 많았다고 밝혔다. 머니메탈스의 금 분석가 얀 니우엔하위스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중국인민은행은 비밀리에 570톤의 금을 매입했으며 현재 공식 발표량의 두 배가 넘는 금을 축적했다.


니우엔하위스는 워싱턴포스트에 중국의 매입 규모가 금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중국이 정말로 금을 달러의 대안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에요." 그가 말했다.


중국인민은행은 질의에 응답하지 않았다. 중국의 관세청에 해당하는 해관총서는 성명에서 정보 수집 및 발표에서 "국제 관례"를 따른다고 밝혔다. "중국의 금 수출입 데이터는 개방적이고 투명합니다." 해관총서는 덧붙였다.


베이징 소재 대외경제무역대학 금융학부 겸임교수인 자오칭밍Zhao Qingming은 금의 전략적 가치를 고려할 때 중국의 보유량이 "기밀"로 분류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어떤 나라도 금 보유고가 국내에서 취득되었는지 국제적으로 취득되었는지, 또는 각 경로에서 얼마나 조달되었는지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아요." 자오 교수는 말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투명성 부족으로 불법적으로 채굴된 다량의 금을 점점 더 은폐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보수적인 추정에 따르면 불법 금 시장의 가치는 연간 300억 달러(42조 원) 이상, 400톤에 달한다. 비영리단체 스위스에이드Swissaid가 2024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의 금 밀수는 2012년에서 2022년 사이에 두 배로 증가했다.


개별적으로 보면 불법 광산은 합법 광산보다 규모가 작을 수 있다. 그러나 한 국가, 여러 국가에 걸쳐 합산하면 "엄청나게 많은 양"이라고 미국 정부에 자원 추출에 대한 과학적 평가를 제공하는 미 지질조사국(USGS) 플로렌스 바스콤 지구과학센터의 피트 치리코Pete Chirico 부국장은 말했다.


일단 제련되면 불법 금은 합법 금과 구별이 거의 불가능하며 세계 최대 구매자인 중국에게는 똑같이 가치가 있다.


"금에 대한 전략적 이해관계가 있다면 산업적 금 채굴 부문에만 의존하고 싶지는 않을 거예요." 치리코 부국장이 말했다. "어디에 있든 금을 싹쓸이하려고 하는 거죠."


인도네시아 순바와섬에서 노동자들이 금광석을 옮기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중국 채굴업자들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순바와섬에서 노동자들이 금광석을 옮기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중국 채굴업자들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다.

'인민의 채굴'

랄루 아디미얏(40)은 진흙투성이 도요타 SUV가 인도네시아 동부 마을의 움푹 팬 비탈길을 덜컹거리며 달리는 동안 창밖을 내다보았다. 거센 바람 속으로 걸어 나오자 천막을 친 수직갱에서 밖을 엿보는 몇몇 현지 남성들이 그를 발견했다. 그는 뻣뻣하게 고개를 끄덕이고 돌아섰다.


오래 머무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고 그는 중얼거렸다.


지역 활동가인 랄루는 휴양지 발리에서 배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이곳 롬복섬에 중국 금광 투자자들이 2022년부터 도착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의 마을 스코통Sekotong에서는 현지인들이 수년간 소량의 금을 채굴해왔다. 오토바이로 언덕을 오르고 수공구를 사용해 금이 박힌 광석을 파내 계곡의 상인들에게 판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채굴이 소규모로 유지되는 한, 시민들에게 허가를 내주며 이를—인도네시아어로 '인민의 채굴tambang rakyat'이라 부른다—허용했다.


하지만 중국 투자자들은 굴착기, 파쇄기, 펌프를 가지고 와 현지 광부들을 경악시켰다고 랄루는 회상했다. 중국인들은 언덕 꼭대기에 자체 처리 시설을 짓고 현지 광부들이 전에 사용해 본 적 없는 화학물질인 시안화물에 광석을 적시기 위한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설치했다. 그들은 분당 160회 회전하는 롤러가 달린 거대한 중국산 제분기를 들여왔다. 곧 중국 투자자들은 현지인들이 몇 달 또는 몇 년이 걸려야 채굴할 수 있는 양의 금을 단 하루 만에 옮기기 시작했다고 랄루는 말했다.


"패배감을 느꼈죠." 그가 회상했다.


몇 차례의 충돌 끝에, 2024년 8월 마을 주민들이 중국인 광부들의 숙소에 불을 지르면서 적대감이 폭발했다. 당국이 도착하여 발견한 것은 인도네시아에서 지금까지 적발된 가장 큰 불법 금광 중 하나였다. 이 광산은 미식축구장 184개 크기에 걸쳐 있었으며, 월 추정 시장 가치 550만 달러(77억 원)의 금을 생산했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어요." 10월에 현장을 시찰했던 디안 파트리아(58)가 회상했다.


인도네시아 순바와섬 주민들은 수십 년간 수공구를 사용해 금을 채굴하고 정제해 왔다.

인도네시아 순바와섬 주민들은 수십 년간 수공구를 사용해 금을 채굴하고 정제해 왔다.


순바와섬에서 한 여성이 금맥을 찾기 위해 으깬 광석을 체로 거르고 있다.

순바와섬에서 한 여성이 금맥을 찾기 위해 으깬 광석을 체로 거르고 있다.


인도네시아 반부패위원회의 소박하고 콧수염을 기른 관료인 디안은 중국 투자가 전반적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의 불법 네트워크가 인도네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가 마을 의회부터 중앙 부처까지 부패시키는 것을 지켜봐 왔다고 말했다. 그가 감독하는 광물 매장량이 집중된 인도네시아의 외딴 동부 지방에서 가장 탐나는 목표물은 금이었다.


"그들은 우리를 강탈하고 있어요. 대놓고 말이죠." 디안은 자카르타의 사무실에서 한탄했다.


과거 뉴몬트Newmont와 같은 미국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금 채굴을 지배했던 수십 년 동안, 당국은 과도한 부패를 막기 위해 OECD 뇌물방지협약과 같은 미국 및 국제 반부패 규정에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해외에서 부패에 연루되는 데 거의 장벽이 없는 중국 사업자들에게는 그렇지 않다고 디안은 말했다.


인도네시아는 불법 채굴 조직들을 찾아내고 기소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했으며, 올해 초 광물부 내에 사법기관을 신설하고 시안화물 밀수 조직에 대한 단속을 강화했다. 그러나 규제 당국이 유죄를 입증할 증거를 찾았다고 확신하더라도 관리들에 대한 뇌물 제공으로 상급자들이 기소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디안은 말했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지난 1년간 최소 4개 주에서 중국 네트워크가 운영하는 대규모 불법 금 채굴 사업을 보고했다. 그중 어느 것도 유죄 판결로 이어지지 않았다.


보르네오섬의 인도네시아령인 칼리만탄에서 발생한 한 사건에서 당국은 1km 이상 뻗어 있고 최대 80명을 고용한 광산을 발견했다. 중국인들이 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갑자기 무죄 판결을 받았는데 나중에 인도네시아 사법위원회는 이 판결이 판사들의 윤리 위반과 위법 행위로 얼룩졌다고 밝혔다.


지난 6월, 인도네시아에 남아 있던 중국인 피고인 중 한 명이 재심을 받아 징역 3년과 벌금 180만 달러(25억 원)를 선고받았다. 인도네시아 환경부 기후변화완화국장인 하루키 아구스티나는 특히 규제되지 않은 시안화물 사용으로 광산이 환경에 미친 피해를 고려할 때 처벌이 불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너무, 너무 불충분하죠." 그는 인터뷰에서 말했다.


인도네시아 순바와섬 탈리왕 마을의 현지 금광업자인 마틴은 중국 광산업자들이 인근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것을 불안하게 지켜봤다고 전했다. "만약 그들이 여기 들어온다면 우리는 경쟁할 수 없어요."

인도네시아 순바와섬 탈리왕 마을의 현지 금광업자인 마틴은 중국 광산업자들이 인근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것을 불안하게 지켜봤다고 전했다. "만약 그들이 여기 들어온다면 우리는 경쟁할 수 없어요."


수십 년간 금을 채굴해 온 영세 채굴업자 수하르가 광석을 언덕에서 집으로 나르고 있다.

수십 년간 금을 채굴해 온 영세 채굴업자 수하르가 광석을 언덕에서 집으로 나르고 있다.


워싱턴포스트가 입수한 롬복의 인도네시아 정부 내부 문서에 따르면, 스코통의 불법 광산은 보호림 지역을 침범했으며 중국인이 이끄는 2개 회사와 인도네시아인이 이끄는 1개 회사 등 3개 회사가 운영했는데 이들 중 어느 곳도 필요한 허가를 받지 않았다. 또한 문서에 따르면 롬복과 인근 섬에는 정부가 파악한 불법 광산이 수십 개 더 있다.


에너지광물자원부의 한 고위 관리는 작년에 경찰에 이관된 스코통 조사가 교착 상태에 빠졌으며 그 이유는 부처에 공유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질의에 응답하지 않았다.


지난 5월 워싱턴포스트 기자들이 스코통을 방문했을 때, 작년에 설치된 경찰 통제선은 철거된 상태였다. 금광석을 가득 실은 트럭들이 절벽 가장자리를 따라 덜컹거리며 이동했고 광산은 가동 중인 것으로 보였다. 랄루는 비디오를 찍기 위해 휴대폰을 들면서 혀를 찼다.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네요." 그가 말했다.


인도네시아 관리들은 순바와섬에 수십 개의 대규모 불법 금광 채굴 현장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관리들은 순바와섬에 수십 개의 대규모 불법 금광 채굴 현장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약탈'

지난 1월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수백 명이 중국 업자들의 금 "약탈"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 시위에 대해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렇게 답했다. "중국 정부는 항상 해외에 있는 자국민과 기업들에게 현지 법률과 규정을 엄격히 준수할 것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금 매장국의 관리들은 중국 정부가 그러한 입장을 강제하기 위해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인도네시아 순바와섬 서부에 위치한 합법적인 인도네시아 소유 광산인 PT 암만 미네랄 인터내셔널의 작업 모습. 이와는 대조적으로 불법 채굴은 순바와섬 동부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순바와섬 서부에 위치한 합법적인 인도네시아 소유 광산인 PT 암만 미네랄 인터내셔널의 작업 모습. 이와는 대조적으로 불법 채굴은 순바와섬 동부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오랜 세월 탈리왕 마을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레보 호수. 주민들은 불법 금광에서 흘러나오는 수은과 시안화물 같은 화학 물질로 인해 호수가 오염되고 있다고 말한다.

오랜 세월 탈리왕 마을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레보 호수. 주민들은 불법 금광에서 흘러나오는 수은과 시안화물 같은 화학 물질로 인해 호수가 오염되고 있다고 말한다.


국제 조사관들과 가나 및 인도네시아 관리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불법 금 채굴에 책임이 있는 중국인들을 식별하고 억제하려는 노력에 비협조적이었다. 연구자들은 중국 당국이 불법 금 흐름을 계량화하고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데이터도 공개하지 않았으며 이 주제에 대한 다자간 논의에 눈에 띄게 불참하고 있다고 말한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예를 들어 지난 5월 파리에서 열린 책임 있는 광물 공급망에 대한 2025년 OECD 회의(이 주제에 대한 가장 중요한 연례 포럼으로 널리 알려짐)에서 소규모 중국 대표단은 산업 채굴에 대해서는 발언했지만 불법 채굴에 대한 논의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이러한 대화에서 "중국은 사라진 방 안의 코끼리 같다"고 아프리카 오대호 지역의 채굴에 초점을 맞춘 벨기에 소재 연구소인 국제평화정보서비스(IPIS)의 기욤 드 브리에 연구원이 말했다.


"우리는 그들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들은 그 자리에 없어요."

헛된 저항

현지인들은 란퉁 마을의 영세 채굴이 수십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한다. 그러나 대규모 채굴은 3년 전, 마을 사람들에게 '시Xi 씨'로 알려진 한 중년 중국인 남성이 소규모 토지 소유주들과 채굴 계약을 맺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보상을 약속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고 마을 사람들은 말했다. 그러나 항의는 거의 효과가 없었다.


산꼭대기의 거대한 구덩이에서 흘러나오는 유출수로 농작물이 죽어가고 있다. 현지인들은 매주 광산의 시안화물 웅덩이 하류에서 소들이 죽어 나가는 것 같다고 한다.


"여기 보이는 모든 것, 저 언덕과 저 언덕 그리고 저것도... 보이는 모든 벗겨진 땅은 다 중국인들 소행이에요." 현지 주민 사부딘이 말했다.


많은 인도네시아인들처럼 이름만 사용하는 사부딘(49)은 깡마른 체구에 헐렁한 긴팔 셔츠를 입고 들쭉날쭉한 절벽 위에 서 있었다. 그는 망치와 곡괭이로 일하는 '라키앗rakyat' 채굴을 했다고 한다. 사부딘은 때때로 중국 사업자들이 파헤쳤다가 버리고 간 이런 곳에서 채굴을 했다. 하지만 그는 중국인들을 위해 채굴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그들은 불법적으로 일해요." 그가 설명했다. "저는 그런 일에 엮이고 싶지 않아요."


하지만 어릴 적 누비고 다녔던 정글을 바라보며 그는 때때로 중국 채굴 사업의 규모에 경외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맞은편 바위산에 있는 아연 지붕 건물—불법 광산을 지키는 노동자들의 숙소를 가리켰다. 밤이 되어도 그 건물들의 불은 꺼지지 않는다고 그는 말했다. 파쇄기는 계속 윙윙거리고 굴착기는 계속 조금씩 앞으로 나아간다.


현지인들은 이런 식의 작업을 운영할 수 없다고 사부딘은 말했다.


"오직 중국인들만 할 수 있죠." 그가 말했다.


인도네시아 란퉁 마을에서 주민들이 배구를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란퉁 마을에서 주민들이 배구를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란퉁 마을에서 아이들이 축구를 하고 있다. 현지 주민들은 불법 채굴이 만연하고 있다고 말한다.

인도네시아 란퉁 마을에서 아이들이 축구를 하고 있다. 현지 주민들은 불법 채굴이 만연하고 있다고 말한다.


1877년 창간돼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과 함께 미국의 대표적인 일간지로 손꼽힙니다. 닉슨 대통령의 사임으로까지 이어진 1972년 워터게이트 스캔들 보도로 유명합니다. 2013년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인수한 이래 디지털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했습니다.
 
close
comment
top